- 폭발위험장소 선정
- 국내방폭인증
1. 적용기준
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0조(폭발위험이 있는 장소의 설정 및 관리)에 의거 [산업표준화법]에 따른 한국산업표준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설정
2. 관련법규
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
제230조 (폭발위험이 있는 장소의 설정 및 관리)
제232조 (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)
제311조 (폭발위험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∙기구의 선정 등)
세부적용기준은
- KS C IEC 60079-10-1: 2015[폭발분위기-제10-1부: 폭발위험장소의 구분)
- KS C IEC 60079-14: 2002(2017년 확인) [방폭 전기기계기구-제14부: 위험지역의 전기설비]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GUIDE E-143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인화성액체 취급장소에서의 폭발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 E-138 위험성평가를 기분으로 하는 천연가스(NG) 사용 보일러실 등의 폭발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 E-150 가스 폭발위험장소의 설정에 관한 일반지침 E-151 가스폭발위험장소 설정에서의 인화성물질 누출원평가에 관한 기술지침 E-152 가스폭발위험장소 설정에 있어서의 환기평가에 관한 기술지침 E-153 가스폭발위험장소 범위설정에 관한 기술지침 E-99 분진폭발 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 E-172 폭발위험장소에 사용하는 전기설비 설계, 설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E-101 가스 폭발위험장소의 전기설비 검사 및 정비에 관한 기술지침
- KS C IEC 60079-10-1: 2015[폭발분위기-제10-1부: 폭발위험장소의 구분)
- KS C IEC 60079-14: 2002(2017년 확인) [방폭 전기기계기구-제14부: 위험지역의 전기설비]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GUIDE E-143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인화성액체 취급장소에서의 폭발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 E-138 위험성평가를 기분으로 하는 천연가스(NG) 사용 보일러실 등의 폭발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 E-150 가스 폭발위험장소의 설정에 관한 일반지침 E-151 가스폭발위험장소 설정에서의 인화성물질 누출원평가에 관한 기술지침 E-152 가스폭발위험장소 설정에 있어서의 환기평가에 관한 기술지침 E-153 가스폭발위험장소 범위설정에 관한 기술지침 E-99 분진폭발 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 E-172 폭발위험장소에 사용하는 전기설비 설계, 설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E-101 가스 폭발위험장소의 전기설비 검사 및 정비에 관한 기술지침

3. 희석등급
희석등급 | 적 용 예 |
---|---|
고희석(high dilution) | 누출원 근처에서의 농도를 순간적으로 감소시키고, 누출이 중단된 후 사실상 지속되지 않는다. |
중희석(medium dilution) |
누출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누출농도를 안정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고, 누출이 중단된 후에는 더 이상 폭발성 가스 분위기가 지속되지 않는다. |
저희석(low dilution) | 누출이 진행되는 동안에 상당한 농도로 지속되고, 누출이 정지된 후에도 인화성 분위기가 상당기간 동안 지속된다. |
누출등급 | 환기등급 | 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고희석 | 중희석 | 저희석 | ||||||
환기이용도 | ||||||||
우수(good) | 양호(fair) | 미흡(poor) | 우수 | 양호 | 미흡 | 우수,양호,미흡 | ||
연속 | 비위험 | 2종 장소 | 1종 장소 | 0종 장소 | 0종 장소 + 1종 장소 |
0종 장소 + | 0종 장소 | |
(0종 NE)a | (0종 NE)a | (0종 NE)a | 1종 장소 | |||||
1차 | 비위험 | 2종 장소 | 2종 장소 | 1종 장소 | 1종 장소 + | 1종 장소 + | 1종 또는 0종 장소c | |
(1종 NE)a | (1종 NE)a | (1종 NE)a | 2종 장소 | 2종 장소 | ||||
2차b | 비위험 | 비위험 | 2종장소 | 2종장소 | 2종장소 | 2종장소 | 1종 및 0종 장소c | |
(2종 NE)a | (2종 NE)a |
4. 폭발위험장소 구분도 작성예시 1

4. 폭발위험장소 구분도 작성예시 2
